메모리 : RAM과 ROM으로 물리적으로 구분할 수있다.(휘발성 비휘발성)
SRAM : POWER ON시 내용유지됨
DRAM : POWER가 있더라도 사용자가 조치를 안취하면 소멸됨
PROM : 1회 프로그램가능
EPROM : R/W가능(IC위)
EEPROM : 전기적신호로 R/W
CACHE : 빠른 SRAM을 뜻한다고 일단 생각하고 넘어가겠습니다
JTAG: Joint Test Action Group의 약자로, Embedded System 개발 시에 사용되는 Debugging 장비이다.
- 디지털 회로에서 특정 노드의 디지털 입출력을 위해 직렬 통신 방식으로 출력 데아터를 전송하거나 입력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식
AVR에서 용도에 관해서 메모리를 구분하면
1.플래쉬메모리 :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합니다. [프로그램메모리]
2.SRAM :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합니다. [데이터메모리]
3.EEPROM : 별도의 고정적인 데이터를 저장합니다. [데이터메모리]
그래서 플래쉬메모리가 128Kbyte인 ATmega128의 경우 뒤의 128은 바로 플래쉬메모리의 크기를 얘기합니다.
입출력장치
소자-스위치 , 입출력 형태- 입력
기능
-신호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입력장치
-EX), 신호가 연결되면 ON 상태를 나타내고 신호가 연결되지 않으면 OFF상태를 나타낸다.
-키보드와 같은 응용에 활용
소자-ADC , 입출력 형태- 입력
기능
-MCU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
소자-센서 , 입출력 형태- 입력
기능
-측정대상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대상의 물리량(힘,압력,온도,속도,유량)을 다른 물리량(일반적으로 전기량으로 전압 또는 전류)으로 변환하는 소자
-거리 계측용의 초음파센서, 적외선 센서, 레이저 센서
-물체 감지용의 영상 센서
-물체 움직임의 검출용의 가속도 센서, 자이로 센저, 엔코더
소자-표시장치 입출력 형태- 출력
기능
-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
-LED, 7-세그먼트, LCD
소자-센서 , 입출력 형태- 입력
기능
-기계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츄에이터로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역학적에너지로 바꾸는 장치
-스텝모터, AC/DC모터, BLDC 모터
소자-솔레노이드 , 입출력 형태- 출력
기능
-전기적인 에너지를 회전 또는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구동되는 전원에 따라 DC와 AC형태가 있음.
--스텝모터, AC/DC모터, BLDC 모터
소자-릴레이 , 입출력 형태- 출력
기능
-전자적인 접점을 ON/OFF하여 기계적인 접점을 ON/OFF하는 스위치
소자-DAC 입출력 형태- 출력
기능
-MCU에 의해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인 전압으로 변화하는 장치
하버드 구조(RISC) :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
명령어와 데이터가 서로 다른 버스를 사용하는 구조
아마 바로 이해되시지는 않을겁니다. 먼저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버스개념과 데이터, 명령어
이 3가지를 확실히 알고계셔야 합니다.( 네이버에 검색을 통해 )
그래서 명령어와 데이터를 동시에 CPU로 전달할수 있기때문에 빠른 수행이 가능합니다.
(도로가 시골길 이었는데 왕복 2차선이 된것과 같은 느낌이지요..) 모르겠다...
BCH 코드 : 16진법과 10진법을 2진법표현으로 나타낸 코드
■ 아스키코드 : 미국에서 표준화가 추진된 7비트 부호. 1963년 당시의 ASA(American Standards Association:미국 표준 협회)에 의해 제정되어 미국의 표준 부호가 되었다.
아스키코드는 컴퓨터 인터페이스(장치)들간의 소통언어라고 볼수있습니다.
소통시에는 위에서 쓴것처럼 BCH 코드로 8비트씩 끊어서 아스키코드로 PC에 입력됩니다.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lutter doctor cmdline-tools component is missing / Android license 오류 해결방법 (0) | 2023.02.26 |
---|---|
ATmega32A 데이터시트 해석 공부용 (0) | 2021.07.14 |
차량 내부 네트워크 - CAN 통신 정리하며 공부하자 (0) | 2021.03.26 |
비전공 AVR- UART 통신 기본 개념 (적으며 공부하자) (1) | 2020.12.04 |
NFC(Near Field Communication) 원리 (21) | 2020.05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