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배기가스 관련
배기가스 발생과정
1. 일산화탄소(CO)
-실린더 내의 산소 부족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 시 일산화탄소 발생
2. 탄화수소(HC)
-연소실 내에서 혼합가스가 연소할 때 연소실 안쪽 벽은 온도가 낮아 연소온도에 이르지 못하며, 불꽃은 안쪽 벽에 도달하기전에 꺼지므로 이때 발생한 미연소 가스가 탄화수소로 배출된다.
-밸브 오버랩으로 인한 혼합가스 배출
-기관 감속시 스로틀 밸브 닫히면 흡기 다기관 진공이 갑자기 높아져 그 결과 혼합가스가 농후해쳐 실린더내 잔류가 되어 실화를 일으키기 쉬워 지므로 탄화수소 배출량이 증가한다.
-혼합가스가 희박할 때.
3. 질소산화물(NOx)
-질소는 산화하지 않으나 높은 온도 높은 압력 및 전기불꽃 등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산화하며 질소산화물을 발생시킨다. 특히 2000도 이상의 높은 온도의 연소에서는 급격히 증가한다.
기관의 부하 조건에 따른 배기가스 특성
반응형
'자동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마트키, 차량경보기는 무엇일까? (1) | 2019.12.19 |
---|---|
MCU(micro controll unit) 그 모든것,구조,처리과정 (1) | 2019.12.06 |
OBD (On-Board Diagnostics) (0) | 2019.12.04 |
자동차 통신 네트워크 (0) | 2019.12.04 |
데이터 통신 (0) | 2019.12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