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동차 통신 네트워크의 종류
1. CAN (Controller Area Network)
-파워 트레인, 섀시 제어기 사이의 통신 및 바디전장 제어 모듈간의 통신에 사용
-2Wire로 구성되며, 통신 속도에 따라 high speed can과 low speed can으로 분류
2. SAE J1850
-직렬 통신 방식이며, pwm (Pulse Width Modulation) : 펄스 폭 변조)을 이용
-주로 고장 진단에 사용 되었으며, 최근에는 사용하지 않는 추세임
3. ISO 4230
-고장 진단용 장비와의 통신을 위한 규약
-1라인 직렬 통신 방식
4. MOST ( Medie Oriented System Transport)
-고장 진단용 장비와의 통신을 위한 규약
-1라인 직렬 통신 방식
5. LIN (Local interconnect Network)
-각종 편의사양 및 스위치(센서)간의 통신
-1라인의 직렬 통신 방식, 최대 20kbps 전송속도를 가짐
자동차 CAN 통신 시스템
1. CAN (Controller Area Network)
-차량용 컨트롤러의 적용 증가로 제어 모듈간의 효울적인 정보의 공류를 위한 통신 표준 필요
-80년대 중반부터 BOSCH사에서 제어기간 통신 사양을 표준화 하여 점차 유렵표준 발전
-제어 모듈 간의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다양한 제어기능 개발 및 응용을 위한 기반
-공장 자동화 및 철도 등 이용분야가 광범위화 되는 추세
2. CAN 특징
-Multi - Master 방식 : 모든 CAN 구성 모듈은 정보 메시지 전송에 자유 권한이 있음
-Dual Wire 접속 방식으로 통신선 구성이 간편함
-고속 통신이 가능함
-신뢰성/안전성 : 에러검출 및 처리 성능 우수
-비 동기 식 직렬 통신 방식
-Low speed can : 125Kbps 이하, 바디전장 계통의 데이터 통신에 응용
-High speed can : 125Kbps 이상, 실시간 (Real Time)제어에 응용
CAN통신 Class구분 : SAE 정의 기준
'자동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배기가스 발생과정, 기관의 부하 조건에 따른 배기가스 특성 (0) | 2019.12.05 |
---|---|
OBD (On-Board Diagnostics) (0) | 2019.12.04 |
데이터 통신 (0) | 2019.12.03 |
가솔린 기관의 점화장치 (0) | 2019.10.10 |
자동차 냉방장치(에어컨) 시스템 (0) | 2019.10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