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해 배기가스 성분 : CO, HC, NOx
인치에 미치는 영향
NOx : 질산기(NO3) 호흡계 질환, 심혈관계 질환 유발/어더운 곳에서 형성 밤에 대기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을 조절하여 미세먼지 유발, 질산(HNO3) 비부염, 탈모유발/물과 반응하여 형성하며 산성비의 주요원인이 된다.
CO : 헤모글로빈과의 결합력이 높아 CO중독시 저산소증으로 질식유발, 산소공급을 저해하고 구통 및 현기증
HC : 인체에 발암성 물질 생성
발생원인
NOx : 질소는 높은 온도, 높은 압력 등에서 NOx를 발생시키며 특히 2000도 이상이나 이론공연비 부근에서 발생 확률이 높다.
CO : 실린더 내에 산소공급이 부족한 상태로 연소하면 불완전 연소를 일으켜 일산화탄소발생
HC : 미연소시, 밸브 오버랩으로 혼합가스 누출시, 실화를 일으킬때, 혼합가스가 희박할때
저감대응 기술
EGR : 엔진에서 연소된 배기가스 일부를 다시 엔진으로 재순환시켜 연소실 온도를 낮추고 이로인해 질소산화물을 억제유도하는 저감장치이다. 작동조건 - 최적의 연소조건이 형성되어 연소온도가 높은 조건이 형성될대 작동
비작동조건 - 높은 출력을 필요로 할때 냉간시, 시동시
산소센서 : 촉매컨버터가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이론공연비가 일어날 수 있도록 제어를 해야한다. 이를 공연비제어라 한다. 공연비제어는 연소가 이론공연비에서 발생하였는지를 점검하는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기능을 하는것이 산소센서이다. 산소센서는 배기가스의 온도에 따라 전압을 발생시켜 ECU에게 전달하는 화학적 전압발생 장치이다.
삼원촉매장치 : 3개의 유해물질이 무해한 가스로 변환되는것을 의미한다. 촉매란 자기자신은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을 말하며 통상적으로 산화(화학적으로 분해하는것 백금촉매)기능과 환원(화학적으로 결합하는것 로듐촉매)에 의해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는 배출가스에 함유된 산소와 결합하여 무해한 이산화탄소 및 물로 변환된다.
'자동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동차 난방 장치 개요 및 작동원리 (2) | 2019.10.05 |
---|---|
디젤엔진/유해배기가스성분/저감 대응기술/저감기술 (0) | 2019.07.29 |
디젤기관 장단점 『리뷰담』 (0) | 2019.07.27 |
버스 정비사 시내버스 정비 후기와 연봉 및 장단점 (0) | 2019.07.09 |
브레이크장치에서 페이드 현상과 베이퍼록 현상 및 방지책 (0) | 2019.06.09 |